본문 바로가기

공복혈당2

당화혈색소 수치표와 정상 기준 당화혈색소 수치표에 앞서 당화혈색소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적혈구 안에 헤모글로빈은산소를 우리 몸의 세포로 운반하는 물질입니다. 혈액 속의 포도당 분자는 일반적으로 헤모글로빈 분자에 달라붙고 이것은 당화혈색소화(헤모글로빈이 글리코실화) 되었다고 합니다. 사람의 혈당이 높아질 경우 더 많은 헤모글로빈이 글리코실화 됩니다. 이 포도당은 적혈구의 수명인 6~10주 동안 헤모글로빈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어 이를 통해 혈액 속의 글리코실화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글리코실화 헤모글로빈) 검사는 검사 전 6~10주 동안 사람의 평균 혈당 수치가 얼마였는지 보여주며 당화혈색소 수치표는 당뇨병이 얼마나 잘 조절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023. 2. 2.
당뇨병 전, 공복혈당 장애 공복혈당 장애란 혈당 수치가 정상보다 높지만 당뇨병 진단을 받을 만큼 높지는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당뇨병 전 단계인 공복혈당 장애는 향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정상에 비해 20배나 높습니다. 하지만 식사조절, 운동과 체중 조절 등의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 당뇨병 위험률을 60%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공복혈당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공복혈당 정상 기준 공복혈당 검사는 임신성 당뇨 또는 당뇨병을 검사하기 위한 혈액 검사로, 물을 제외한 8~12 시간 동안의 금식 후 진행하는 채혈 검사입니다. 공복 혈당치가 100mg/dL미만이면 정상, 공복 혈당치가 100~125mg/dL이면 사전 당뇨병으로 공복혈당 장애로 간주되며 두 번의 추가 검사에.. 2022. 12. 20.